기회의 영어 단어. 원어민이나, 영어로 이루어진 애니메이션등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영어로는 "챈스"[tʃæns]로 발음한다. 이걸 일본어표기로 챤스(チャンス)가 된 것을 한글로 중역해서 생긴 표기가 바로 "찬스". 따라서 퍼질대로 퍼진 오역이라고 할 수 있으나.. 영국식의 IPA는 [tʃɑ:ns]라서 "찬스"가 완전히 틀린 표기는 아니다. 주로 퀴즈프로그램에 자주 쓰는 단어로, 이 단어를 이용한 드립이 있었는데, 동거동락에서 박경림이 '찬수'로 잘못발음하자, 유재석이 '찬수'는 네 친구라며 응수했다. 그 후 강현수가 찬스에 실패하자 차태현이 박경림에게 찬스판을 찬수에게 주라고 말했고, 이범수가 '쟤가 찬수냐?'라며 드립했다. 심지어 강현수는 실제로 찬수라는 친구가 있다는 말을 했다. 스포츠에서도 득점 기회를 찬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특히 야구에선 득점권에 주자가 나갔을 때 찬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허구연 KBO 총재가 해설위원 시절에 이 단어를 ‘챈스’라고 많이 불렀었다. 학산문화사에서 발행된 격주간 만화잡지로 1995년에 주간지로 창간하였고, 1997년 중반에 격주간으로 바뀐다. 2009년 4월을 기점으로 격주간에서 월간으로 변경되었다. 정식 명칭은 코믹 매거진 찬스. 창간할 당시에는 '소년 매거진 찬스'라는 이름이었고, 소년 매거진이라는 이름 답게, 출판사에서 매거진 계열(코단샤 계열)만화를 자주 수입해왔고, 본지에 연재한 일본 만화는 전부 소년 매거진 만화였다. 이외에도 Max Lai라는 필명을 쓰는 대만 작가의 서유기를 모티브로 한 소화상이란 대만 만화를 연재한적이 있었다. 같은 소년 만화 잡지인 아이큐 점프, 소년 챔프에 비해 상당히 후발주자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3대 소년만화 잡지에 위치에 있다. 다만 소년만화 잡지가 사실상 위에 세개밖에 안남음에 따라 의미는 없게 되었다. 후발로 출발했기에, 1990년대 당시 네임드 작가들을 ...